떠오르는 아프리카 헤어시장

0
PolarisUno 아프리카 공장

조만간 중국 대신 아프리카 가발 생산기지 될 것
한국 PolarisUno 진출, ACRA 원사로 대성공

아프리카 케냐에서 가발로 크게 성공했다는 재외동포 최영철 사장의 얘기가 국내 일간지 등에서 널리 알려진 바 있다. 그는 1984년 31세의 나이로 의류제품을 판매하기 위해 케냐로 갔었다. 하지만 여의치 않았다. 5년 후 가발사업으로 전환했다. 성공 가도를 달렸다. 그의 회사 Sana Group (헤어 브랜드 Angels)는 현재 케냐 수도 나이로비에 약 20만 평방 피트 대지에 30여 개동의 공장시설을 갖추게 되었다.

최 사장에 의하면, 케냐는 특히 가발사업을 하기에 아주 좋은 여건을 가지고 있다고 한다. 무엇보다도 기후가 좋다. 수도 나이로비는 해발 1500-1800미터 고산지대여서 덥지 않고, 1년 내내 시원하다. 케냐는 일찍이 자본주의를 받아들여, 국민들의 생활 수준이 괜찮고, 사업가들은 경제활동을 하는 데 큰 문제가 없다고 한다. 특히 무노동=무임금을 원칙으로 하고 있고, 필요한 공원은 얼마든지 골라 뽑을 수 있다. 임금은 일당 약 3달러이며, 취업을 원하는 사람들이 3개월씩 공장 앞에서 줄을 서서 기다린다고 한다. 가발제조업은 간단한 수공업이기 때문에 1주일이면 숙련공이 된다. 그리고 무엇보다도 한국이 갖고 있는 뛰어난 가발제조기술이 큰 자산이다.

Sana Group의 성공 스토리는 아프리카의 가발업계 전체로 보면 소소한 얘기다. Sana Group보다 훨씬 더 크게 성공한 기업들이 많기 때문이다. 그동안 널리 알려지지 않았을 뿐이다. 아프리카 전국적으로 가발제조업체로서 가장 성공한 선두 업체는 단연 미국의 선태양그룹의 Solpia (헤어 브랜드 X-PRESSION 및 LINDA, 선태양 창업자 고 박재호 회장의 둘째 사위 김평일 사장)를 꼽는다. 김 사장이 40여 년 전 세네갈에 첫 진출하여 터를 닦았고, 현재 Solpia는 나이지리아, 토고, 코트디부아르, 카메룬, 콩고, 케냐, 남아공 등 8개국에 진출해 있으며, 아프리카 전체 헤어시장에서 소요되는 가네가롱원사의 30~40%를 단독으로 소비할 정도다.

Solpia 다음으로 헤어시장에서 두각을 나타내고 있는 업체로 Darling이 있다. Darling은 인도 Mumbai에 본사를 두고 있는 인도의 최대 종합 재벌의 하나인 Godrej Group 계열사다. Darling은 원래는 레바논계 사업가가 창업한 헤어제조사였는데, Godrej Group이 대부분 인수한 것이다. 10여 개국에 진출해 있다. Godrej Group의 2023년 총수입(Revenue)은 US$4.0 Billion으로 알려졌다. 아프리카 헤어시장의 미래를 보고 투자한 것으로 보인다.

최근 나이지리아 시장에서 Tolaram Group (그룹 연매출 $1.2B, 싱가포르에 본사를 두고 있는 인도계 기업, 헤어 브랜드 Lush)이 또한 새롭게 부상하고 있다. 원사 소비량이 제일 큰 시장으로 알려진 나이지리아에서 Tolram Lush 헤어 매출이 Solpia X-PRESSION을 위협할 정도라고 한다. 카펫 비즈니스를 하던 Tolram Group이 한국 원사 생산업체 PolarisUno의 브레이드용 원사를 사용하여 가발 제조업을 시작했다. Tolaram Lush Hair는 현재 Nigeria를 중심으로 Côte d’Ivoire, Ghana, Kenya, South Africa, Mozambique 등에 진출, 매우 큰 속도로 성장하고 있다. 성장의 동력은 무엇보다도 PolarisUno가 현지에서 생산하고 있는 헤어 원사 덕분인 것으로 알려졌다.

PolarisUno의 브레이드용 원사 가운데 새롭게 개발된 ACRA가 헤어시장의 판도를 바꾸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산뜻하고 선명한 컬러 색상, 핫워터 컬 세팅의 높은 유지력, 가벼움(비중 비교: 카네가론 1.28, ACRA 1.17) 등 몇 가지 성능 면에서 가네카론 원사보다 더 우수한 특징을 가지고 있다는 것이다. 이런 우수한 특성 때문에 나이지리아 및 남부 아프리카 지역에서 젊은 세대를 중심으로 ACRA 원사로 제작된 헤어제품들이 선풍적인 인기를 끌고 있으며, 아프리카 헤어 원사 시장에서 일본 가네카론과 대등한 경쟁을 펼치고 있다고 한다.

PolarisUno의 새로운 등장은 지난 수십 년간 가네카론의 독점적인 공급으로 인해 획일화되었던 브레이드 시장에서 벗어나 다양한 소비자의 욕구를 충족시켜주고 있어 가발산업 발전에 긍정적인 효과로 나타나고 있다. 최근 미국의 헤어 공급업체 하나인 Hairland (I&I Hair)사에서도 PolarisUno의 ACRA 원사를 사용해 미국 시장에 가장 적합한 “Supremacy Braid1”이란 제품을 지난 9월 말 출시했다. 이를 시발로 ACRA 원사로 제조된 헤어 제품들이 조만간 미국시장에서도 두각을 나타낼 것으로 보인다. I&I Hair는 EZBRAID로 미국시장에서 크게 히트를 친 회사이다.

PolarisUno는 2013년 남아공 현지법인 ‘우노파이버’를 설립해, 아프리카 시장에 집중하면서 아프리카 내 가발용 원사 생산 1위 업체로 성장한 기업이다. 6년 동안 일본 화학기업 가네가(Kaneka)와 Flame Retardant Polyester Fiber (난연고열사) 소송에 휩싸인 바 있으며, 아프리카 진출과 함께 브레이드용 원사 다각화로 매출이 급성장했다. 전 세계 브레이드 원사시장의 규모는 3억 불 정도이며, 매년 20%씩 성장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한편, 한국기업으로 처음으로 아프리카에 세네갈 진출한 업체는 Nina Africa였다. 1970년대 중반 한국 가발 제조업체로서 선두를 달리던 미성상사가 1982년 투자했었다. 세한아프릭(회장 이봉상)사가 곧바로 Nina Africa를 인수한 이후, 아프리카 여러 나라에 진출, 현재 탄자니아, 콩고, 남아공 등을 중심으로 가발원사 및 가발제품을 제조·판매하고 있다.

특히 Afriq Fiber사는 남아공의 더반 항에 자리하고 있는 지리적 조건을 바탕으로 작년도에 미국의 OEM 시장 진출을 적극적으로 노크한 적이 있다. 더반 항은 아프리카 물류의 허브로서 항만 물동량이 많아 타 아프리카 국가들에 비해 해상운임이 상대적으로 저렴한 편이고, 미국의 아프리카 성장 기회법에 따라 가발 완제품에 대한 미국수출은 면세혜택이 주어지고 있기 때문에 중국 공장들보다 훨씬 경쟁력이 있다고 판단했던 것으로 보인다.

Afriq Fiber사는 자사가 생산하는 Fiber로 기본 브레이드부터 최대 80인치 pre-stretched 브레이드, Hot Water 기능의 브레이드 등 다양한 브레이드를 제조·생산하고 있다. Afriq Fiber는 또한 자체에서 생산하는 PP를 포함, PET, PVC, 고열사, 난연사, 모다크릴, 아크릴, 나일론 등 가네카론 등 모든 원사를 이용한 제조가 가능하다고 한다.

중국 최대 가발제조업체인 Rebecca Fashion도 2003년 나이지리아, 2010년 가나에 공장을 설립해 Noble Hair 브랜드를 출시, 활동하고 있다. 그밖에 많은 중국업체들이 있는데 대부분 중국에서 생산한 저가 상품을 수입해 경쟁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아프리카 시장의 가발의 수요는 현재 매우 빠르게 늘어가고 있다고 한다. 인구가 계속 늘어가고, 소득 수준이 크게 향상되고 있기 때문이다. 예전에 소비자들이 가발 하나를 3-4개월씩 사용했는데, 이제는 2-3주만에 새로운 가발로 바꾼다고 한다. 판매가는 붙임머리 한 개당 평균 4-5불선(통가발 20불-50불)이다. 요즘은 미국시장과 마찬가지로 대부분 브레이드제품이 주로 판매되고 있는 가운데, 통가발보다는 위빙헤어가 더 많이 판매된다고 한다.

아프리카 헤어업계는 특히 인도계 재벌 회사들이 투자하면서, 시장이 더욱 가열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이런 추세로 가면 앞으로 아프리카계 가발 공장들의 미국 진출도 시간의 문제로 보인다. 자본력이 막강한 Godrej나 Tolaram Group의 경우, 아프리카에서 기반을 닦은 후 거대한 미국 시장으로 진출하리라는 예측은 불을 보듯 뻔하다. 이미 Godrej Group의 경우, 미국시장에서 브레이드 제품을 기존 유통채널을 통해 판매하고 있다. Tolram Group사 자회사 제품인 Lush Hair 일부 제품도 미국 내 나이지리안 커뮤니티 마켓과 eBay, Temu를 통해서 미국에서 판매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사실상 미국의 흑인헤어시장과 아프리카의 시장은 단일 시장으로 볼 수 있음을 말해 준다.

이들 아프리카 진출 헤어업체들은 헤어시장 확보를 위해 지역사회 커뮤니티 지원 및 봉사활동을 끊임없이 이어가고 있다. 스타일리스트 양성학원과 헤어살롱을 지원하고, Vision Care 봉사활동을 통해 시각장애인 무료진료 & 치료를 돕고 있고, 미인선발대회 후원, 병원, 고아원 지원, 스포츠단 지원 등이 바로 시장 확보 목적을 담고 있다. 인도계 재벌 Tolaram Group (Lush Hair)는 Lagos Ministry of Women Affairs and Poverty Development (라고스 여성부-빈곤국)과 함께 Lush Hair Academy를 세워, 여성들에게 무료 헤어스타일리스트 교육을 시키고 있는데, 매우 주목할 만한 일이다.

한편, 짐바브웨에서 가발 소매업으로 크게 성공한 한인 김근욱(2년 전 68세로 별세) 사장의 얘기도 널리 알려져 있다. 1999년 짐바브웨에 건너갔다가 여러 가지 사업에 도전했다 실패하고, 2004년 가발가게(Hair Mart)를 시작, 짐바브웨 및 잠비아에 30여 개의 유통망을 만들어 성공한 것이다. 단순 참고로 전한다.

아프리카 흑인 인구는 2020년 기준 전 세계 인구 16%인 13억 명에서 2050년 기준 약 23%에 해당하는 23억 명 가량으로 세계인구의 1/4을 차지할 것으로 예측되고 있다. 스마트폰 보급률이 늘어나면서 가발의 수요는 급격히 상승될 것으로 보인다. 동아프리카의 경제성장률은 2018년부터 연간 6%대, 케냐와 르완다, 탄자니아 등의 가계소비와 제조업이 빠른 경제 성장을 견인할 것이라고 아프리카경제개발은행(AFDB)이 전망했다. 무디스도 2018년 80만 명 수준인 케냐 중산층이 매년 10-12% 성장해 2030년에는 250만 명으로 늘어날 것으로 내다봤다. 무엇보다도 정치·경제 시스템이 민주적으로 바뀌면서 안정적으로 외국인들의 투자가 이루어지고 있다고 한다.

아프리카가 중국과 인도에 이어 지구촌 생산기지가 되리라는 예측은 이미 시간의 문제로 보인다. 이는 미국이 그동안 주도해 왔던 세계화(Globalization)의 일환으로 가는 예정된 길이다. 세계화 덕에 중국 5억, 인도 5억 인구가 잘 살게 되었음을 이미 보여주었다. 앞으로 아프리카 인구 5억이 잘 살게 되는 날이 곧 오게 될 것이다. 아프리카를 주목해야 하는 이유다.

아프리카 가발공장 공원들의 모습

The Emerging African Hair Market 

The story of expatriate businessman Choi Young-cheol, who achieved great success in the wig industry in Kenya, has been widely covered in Korean newspapers. In 1984, at the age of 31, Choi moved to Kenya to sell clothing products, but his venture faced challenges. Five years later, he pivoted to the wig business, which led to tremendous success. His company, Sana Group (known for its hair brand “Angels”), now operates a sprawling facility in Nairobi, Kenya, covering approximately 200,000 square feet with over 30 factory buildings.

According to Choi, Kenya offers exceptionally favorable conditions for the wig business. The climate is one of its greatest assets. Nairobi, the capital, is situated at an altitude of 1,500–1,800 meters, making it cool and temperate year-round. Kenya adopted capitalism early, which has led to decent living standards for its citizens and few barriers for entrepreneurs to engage in economic activities. Additionally, the country adheres to a “no work, no pay” principle, ensuring productivity, and employers can readily hire workers as needed. Daily wages average around $3, and job seekers are known to wait in line outside factories for up to three months to secure employment. Since wig manufacturing is a simple craft, workers become skilled within a week. Furthermore, Korea’s advanced wig manufacturing technology serves as a significant advantage in the industry.

While Sana Group’s success is noteworthy, it represents just a small piece of the African wig industry’s broader narrative. Many companies have achieved even greater success but have not received as much attention.

Among the most successful players is Solpia, part of the US-based Sun Taiyang Group, which leads the African wig manufacturing market. Solpia is known for its hair brands “X-PRESSION” and “LINDA.” The company was founded by the late Park Jae-ho, and his son-in-law, CEO Kim Pyung-il, spearheaded its expansion. Kim first entered Senegal over 40 years ago, laying the foundation for what would become a vast operation. Today, Solpia operates in eight African countries, including Nigeria, Togo, Côte d’Ivoire, Cameroon, Congo, Kenya, and South Africa. The company consumes 30–40% of the Kanekalon fiber used in the entire African hair market, highlighting its dominant presence.

After Solpia, another major player in the African hair market is Darling. Based in Mumbai, India, Darling is a subsidiary of the Godrej Group, one of India’s largest conglomerates. Originally founded by a Lebanese entrepreneur, Darling was later acquired primarily by the Godrej Group. The company operates in over ten countries, and its parent group reported a total revenue of $4.0 billion in 2023. Godrej’s investment in Darling seems to reflect its belief in the future potential of the African hair market.

Recently, Tolaram Group, headquartered in Singapore and known for its hair brand Lush, has been gaining traction in Nigeria. With annual group revenue of $1.2 billion, Tolaram is making waves in Nigeria, the largest market for synthetic yarn consumption. Lush Hair’s sales are said to rival those of Solpia’s X-PRESSION. Originally in the carpet business, Tolaram began its wig manufacturing venture using braid yarn supplied by Korea’s PolarisUno. Today, Tolaram Lush Hair operates in countries such as Nigeria, Côte d’Ivoire, Ghana, Kenya, South Africa, and Mozambique, experiencing rapid growth fueled largely by PolarisUno’s locally produced yarn.

PolarisUno’s newly developed fiber, ACRA, is reportedly transforming the hair market. ACRA boasts superior features compared to Japan’s widely used Kanekalon fiber, including vibrant and vivid colors, excellent hot-water curl retention, and reduced weight (Density comparison: Kanekalon 1.28, ACRA 1.17). These attributes have made ACRA-based hair products particularly popular among younger consumers in Nigeria and Southern Africa. As a result, ACRA is now competing head-to-head with Kanekalon in the African hair yarn market.The introduction of PolarisUno’s ACRA has broken the decades-long monopoly of Kanekalon in the braid hair market, offering consumers a wider variety of options. This diversity has positively impacted the wig industry’s development. Recently, the US hair supply company I&I launched a product called “Supremacy Braid1” using ACRA fiber. This marks the beginning of ACRA fiber-based hair products making their mark in the US market as well.

PolarisUno established its South African subsidiary, UnoFiber, in 2013, focusing its efforts on the African market and becoming the leading producer of wig fiber in the region. The company was embroiled in a six-year lawsuit with Japan’s Kaneka, a chemical company, over flame-retardant polyester fiber, but diversified its braid fiber offerings during this time. This diversification, along with its African expansion, led to significant growth in sales.The global braid fiber market is estimated to be worth $300 million, with an annual growth rate of 20%.

 Meanwhile,the first Korean company to enter Africa was Nina Africa, established by Misung Corporation, a leading Korean wig manufacturer in the mid-1970s. In 1982, Misung invested in Senegal, and shortly after, Sehan Afrik (chaired by Lee Bong-sang) acquired Nina Africa. Since then, Sehan Afrik has expanded to various African countries, including Tanzania, Congo, and South Africa, where it manufactures and sells wig fiber and products.

Notably, Afriq Fiber, part of the Sehan Afrik group, has leveraged its strategic location at Durban Port in South Africa to actively explore opportunities in the U.S. OEM market. Durban Port is a major logistics hub for Africa, offering relatively lower shipping costs compared to other African countries. Furthermore, the African Growth and Opportunity Act (AGOA) allows duty-free exports of finished wigs to the U.S., giving Afriq Fiber a competitive edge over Chinese manufacturers. Afriq Fiber produces a diverse range of braids using its own fibers, including basic braids, pre-stretched braids up to 80 inches, and hot-water-setting braids. The company also manufactures products from a variety of materials, including PP (polypropylene), PET (polyethylene terephthalate), PVC, high-heat-resistant fibers, flame-retardant fibers, modacrylic, acrylic, and nylon, along with Kanekalon.

China’s largest wig manufacturer, Rebecca Fashion, has also established a presence in Africa, opening factories in Nigeria (2003) and Ghana (2010). It launched the Noble Hair brand, which is now active in the region. Other Chinese companies primarily compete by importing low-cost products manufactured in China.

The demand for wigs in Africa is growing rapidly due to population growth and significant improvements in income levels. In the past, consumers would use a single wig for 3–4 months, but now they replace their wigs every 2–3 weeks. The average price of a hair extension ranges from $4–$5, while full wigs sell for $20–$50. Currently, as in the U.S., braid products dominate sales, with weaving hair becoming more popular than full wigs.

The African hair industry has become increasingly competitive, particularly with investments from Indian conglomerates. This trend suggests that African wig factories’ expansion into the U.S. market is only a matter of time. Conglomerates with substantial capital, like Godrej and Tolaram Group, are expected to strengthen their foothold in Africa before entering the massive U.S. market. Godrej Group, for example, is already selling braid products in the U.S. through existing distribution channels. Some products from Tolaram Group’s Lush Hair are reportedly being sold to the U.S. Nigerian community markets and via platforms like eBay and Temu. This interconnectedness highlights the fact that the U.S. Black hair market and the African hair market can essentially be viewed as a single, unified market.

On the other hand, hair companies operating in Africa are actively engaging in community support and volunteer activities to solidify their presence in the market. These efforts include sponsoring hairstylist training academies and hair salons, providing free vision care and treatment for the visually impaired, supporting beauty pageants, aiding hospitals and orphanages, and backing sports teams. Notably, the Indian conglomerate Tolaram Group (known for Lush Hair) has partnered with the Lagos Ministry of Women Affairs and Poverty Development to establish the Lush Hair Academy, where women receive free training as hairstylists. This initiative is highly significant, showcasing the group’s commitment to empowering local communities while expanding its influence.

Another well-known success story is that of the late Kim Keun-wook (who passed away two years ago at age 68), a Korean entrepreneur who achieved remarkable success in the wig retail industry in Zimbabwe. After moving to Zimbabwe in 1999 and experiencing several business failures, he launched a wig store, Hair Mart, in 2004. Over time, he built a distribution network of over 30 outlets across Zimbabwe and Zambia, solidifying his legacy as a successful businessman.

Africa’s Black population, which accounted for 16% of the global population (1.3 billion people) in 2020, is projected to grow to around 23% (2.3 billion people) by 2050, making up a quarter of the world’s population. With the rising adoption of smartphones and improved access to technology, the demand for wigs is expected to surge significantly. East Africa’s economic growth has been steady at 6% annually since 2018, with countries like Kenya, Rwanda, and Tanzania seeing rapid growth driven by household consumption and manufacturing. The African Development Bank (AFDB) predicts continued strong economic performance in the region, while Moody’s forecasts Kenya’s middle class—currently at 800,000 people in 2018—to grow by 10–12% annually, reaching 2.5 million by 2030. Foreign investment is flourishing as Africa’s political and economic systems become more democratic and stable.

Predictions that Africa will emerge as the next global production hub, following China and India, seem increasingly plausible. This shift is seen as part of the ongoing globalization movement led by the United States. Just as globalization lifted 500 million people each in China and India out of poverty, it is anticipated that Africa’s 500 million people will similarly experience improved living standards in the near future. This transformation underscores why Africa deserves attention as a rising economic powerhouse.

Share.